본문 바로가기

apache conf 파일 Apache 의 httpd.conf 파일에 대한 분석 This file : apache2.conf ### Section 1: Global Environment # Do NOT add a slash at the end of the directory path. # # 아파치가 설치된 루트경로(경로의 마지막에 "/"를 붙이지 마라고 되어 있네요) ServerRoot "/etc/apache2" # # The accept serialization lock file MUST BE STORED ON A LOCAL DISK. # LockFile ${APACHE_LOCK_DIR}/accept.lock # # PidFile: The file in which the server should record its process.. 더보기
오라클 리스너 포트 변경 # 리스너 포트 변경 예) 1521 기본 포트를 1525번으로 변경하고자 할때. 1. lsnrctl stop 2. listener.ora 에서 1521 포트 1525로 변경 3. sqlplus /nolog 4. connect /as sysdba 5. alter system set local_listener = "(ADDRESS=(PROTOCOL=TCP)(HOST=m4000)(PORT=1525))"; 6. alter system register; 더보기
암호없이 ssh로 원격로그인 상황 : B 클라이언트에서 일반계정(user1)으로 A 서버로 암호 없이 SSH 접속을 한다. B클라이언트 작업. 1. user1 계정으로 접속 한다. 2. ssh-keygen 명령으로 passphrase 에 암호를 입력하여 키를 생성한다. ssh-keygen -t rsa Generating public/private rsa key pair.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(/home/user1/.ssh/id_rsa): Enter passphrase (empty for no passphrase): Enter same passphrase again: Your identification has been saved in /home/user1/.ssh/id_rsa. Your p.. 더보기
cron을 이용한 스케줄링 작업 정기적인 반복작업이 필요한 경우 cron을 이용하면 해결 할 수 있다. cron은 crontab 명령을 이용하여 사용할 명령을 입력해 놓으면 된다. crontab 으로 등록된 내용은 /var/spool/cron/UserID, 혹은 시스템에 따라 /var/spool/cron/crontab/UserId 의 형태로 저장한다.(그러나 이 파일을 직접 편집할 수는 없다) /etc/cron.allow 에 해당 UserId 가 존재해야 crontab 사용이 가능하다. crontab -l : 현재의 crontab 의 내용을 표준출력으로 보여준다 crontab -r : 현재의 crontab 내용을 지운다. crontab -e : 현재의 crontab 내용을 편집한다. crontab 의 예제 내용 0 2 15 jan,ju.. 더보기
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mount -t type device mount-point 여기서 type은 파일시스템의 명칭(ext2, ext3, NFS, msdos, iso9660...), type을 명시하지 않으면 mount 는 슈퍼블럭을 읽고 파일시스템을 추측하려고 시도한다.(minix, ext2, is9660 만 가능) device 는 파일시스템이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인 장치 mount-point는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할 디렉토리이다(mount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미리 디렉토리를 만들어 두어야한다.) ex) mount -t ext3 /dev/hda2 /mnt 파일시스템이 dos 형태라면 mount -t dos /dev/fd0 /mnt 와 같이 하면 된다. 이제부터는 해당 파일시스템의 내용이 /mnt 에 마운트되어 사용할수 있게.. 더보기
원격로그인 ssh를 이용한 원격로그인 ssh -l mdw eggplang : -l은 원격시스템의 계정을 지정한다. eggplant라는 시스템에 mdw라는 계정으로 로그인을 시도한다. ssh mdw@eggplant 는 위와 같은 의미의 로그인 방법이다. 로컬과 원격이 계정이름이 동일하다면 ssh eggplant 처럼 계정이름을 생략하여 입력할수도 있다. 원격시스템에서 쉘을 시작하지 않고 하나의 명령을 실행할 경우 ssh -l mdw eggplant rm test.txt(로그인 후 경로를 중심으로 한 상대경로, 혹은 절대경로를 입력해도 된다) 원격시스템에 로컬시스템의 파일을 복사하기 scp 를 이용한다. scp logfiles/temp_junk mdw@eggplant: 를 하면 로컬의 logfiles/temp_junk.. 더보기
명령을 백그라운드로 보내기 gcc invinitjig.c & &문자를 넣으면 명령이 백그라운드로 돌아가게 된다.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명령은 포그라운드(foreground)로 가져오려면 fg %1(작업번호) fg 21457(프로세스 ID) 를 하면 된다. 현재 포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명령을 백그라운드로 보내려면 bg 명령을 치면 된다. 더보기
출력 저장하기 ls 의 출력 캡쳐 ==> ls /usr/bin > ~/lscap.txt /usr/bin 하위의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이 자신의 home 디레토리 하위에 lscap.txt 라는 파일로 저장된다.(lscap.txt 라는 파일이 이미 존재한다면 덮어쓰기가 된다.) lscap.txt에 계속해서 다른 내용을 추가하려면 ls /usr/local >> ~/lscap.txt 처럼 하면 된다(>> 사용) > 문자는 표준출력(정상적인 출력)물만 저장한다. 에러메세지는 저장하지 않는다. 에러메세지 저장은 >& 를 사용한다. ex) cp tesfagfg.txt ~/temp/ >& error-msg.txt 본쉘과 bash 에서는 cp tesfagfg.txt ~/temp/ &> error-msg.txt 를 사용한다. >& 은 표.. 더보기
리눅스에서 사용가능한 쉘 bash :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쉘 csh : 버클리에서 개발, tcsh 와 동일 ksh : 일반적으로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쉘 sh : 오리지널 쉘 tcsh : 확장 c 쉘 zsh : Z 쉘 가장 최근에 나온 쉘. 현재 사용하고 있는 쉘 확인 echo $SHELL 사용중인 쉘 변경하기 chsh[enter] ~~~~ Login Shell[/bin/sh]:/bin/bash(바꿀 쉘의 위치 입력) 더보기
리눅스 기본 명령어 pwd : print workind directory(작업 디렉토리 출력) 아무 인수 없이 cd ==> 홈디렉토리로 이동, 홈디렉토리는 틸드(~)로 표기, 즉 ~/programs 는 자신의 홈디렉토리 하위의 programs 디렉토리를 나타낸다. mkdir : 새 디렉토리 생성 rmdir programs : programs 디렉토리 삭제 rm programfiles : programsfile(파일) 을 삭제, -r(recursive) 옵션은 하위의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을 모두 삭제 ls : 파일의 목록 보기 -a(all), -l(long) -h(human) => 모든 파일,디렉토리를 길게(추가정보까지 길게), 인간이 보기 편하게 보여준다. cat filename :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. more fil.. 더보기